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카타르 스타스 리그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height=80><width=25%> 파일:사우디 프로페셔널 리그 로고.svg
||<width=25%> 파일:카타르 스타스 리그 로고(가로형).svg
||<width=25%> 파일:아랍에미리트 프로 리그 로고.jpg
||<width=25%> 파일:이라크 스타스 리그 로고.png
||
||<rowbgcolor=#f0f0f0,#191919>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 파일:카타르 국기.svg ||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 파일:이라크 국기.svg ||
|| 파일:요르단 프로 리그 로고.png
|| 파일:바레인 프리미어 리그 로고.png
|| 파일:VIVA,League(logo).gif
|| 파일:레바논 프리미어 리그 로고.png
||
||<rowbgcolor=#f0f0f0,#191919> 파일:요르단 국기.svg || 파일:바레인 국기.svg ||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 파일:레바논 국기.svg ||
|| 파일:시리아 프리미어 리그 로고.png
|| 파일:OmanProfessionalLeague.jpg
|| 파일:Gaza_Strip_Premier_League.gif
|| 파일:팔레스타인 프리미어 리그 로고.png
||
||<rowbgcolor=#f0f0f0,#191919> 파일:시리아 국기.svg || 파일:오만 국기.svg ||<-2>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
|| 파일:예메니 리그 로고.png
|| || || ||
||<rowbgcolor=#f0f0f0,#191919> 파일:예멘 국기.svg || || || ||
||<-4><bgcolor=#f7f7f7,#191919> 전 세계 리그 ||



카타르 스타스 리그
파일:카타르 스타스 리그 로고(세로형).svg
정식 명칭دوري نجوم قطر
영문 명칭Qatar Stars League
창설 연도1963년 (카타르 리그)
2008년 (카타르 스타스 리그)
참가팀 수12팀
하위 리그카타르 세컨드 디비전
최근 우승팀파일:알 두하일 SC 로고.svg 알 두하일(2022-23)
최다 우승팀파일:알 사드 SC 로고.svg 알 사드(16회)
웹 사이트파일:카타르 스타스 리그 로고(세로형).svg 홈페이지
AFC 리그 랭킹4위 #

1. 개요
2. 역사
3. 참가 구단
4. 역대 우승팀
5. 우승 횟수
6. 카타르 스타스 리그와 대한민국
7. 여담




1. 개요[편집]


카타르 프로축구 최상위 리그다.

풍부한 오일 머니를 바탕으로 세계적으로 유명한 선수나 감독을 영입하면서 중동에서 주목 받고 있는 리그 중 하나다. 2000년대 초반에는 가브리엘 바티스투타, 슈테판 에펜베르크, 펩 과르디올라 등 축구 인생의 황혼기를 보내던 스타들이 줄줄이 스타스 리그를 택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카타르 스타스 리그 우승팀과 에미르컵 우승팀은 AFC 챔피언스 리그 본선 출전권을 획득하며, 스타스 리그 준우승팀과 3위 팀은 AFC 챔피언스 리그 플레이오프 진출권을 획득한다. 스타스 리그 최하위 팀은 카타르 세컨드 디비전으로 강등되며, 스타스 리그 11위 팀은 세컨드 디비전 2위 팀과 승강 플레이오프를 치른다.


2. 역사[편집]


2012-13 시즌까지 1부 리그 12팀과 2부 리그 6팀으로 구성되어 1부 리그 최하위 팀은 2부 리그로 강등되며, 2부 리그의 우승팀이 1부 리그로 승격된다. 1부 리그 11위 팀은 2부 리그 2위 팀과 승강 플레이오프를 치룬다. 2부 리그에서는 강등 제도가 없다. 2013-14 시즌부터는 하위 2개팀이 2부 리그로 강등되며 2부 리그 1~2위팀이 승격하게 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참가 클럽 수도 14클럽으로 확대되었다. 그리고 프로 2군 팀들을 2부 리그로 편입시킨 것도 2013-14 시즌부터이다. 입장료는 프로화 이전에는 무료였지만 현재는 20QAR, VIP석 100QAR을 지불하며 모든 경기에서 통일되었다. 2017/18 시즌부터 1부 참가 클럽 수가 12개, 2부리 그는 5개로 변경되었다.

6+1 아시아 쿼터제를 시행하고 있었으나 카타르 축구 협회에서 2014-15 시즌부터 이 제도의 폐지를 추진하면서 엘 자이시에서 뛰던 고슬기가 2013-14 시즌 후 방출되었다. 아시아 쿼터제의 폐지를 추진했던 이유는 2022년 월드컵을 대비하여 자국 선수들을 육성하기 위한 의도였다고 한다.[1]


3. 참가 구단[편집]


파일:카타르 스타스 리그 로고(가로형).svg
2023-24 시즌 참가 클럽
[ 펼치기 · 접기 ]

#555555,#aaaaaa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height=80><width=25%> [[무아이다르 SC|[[파일:무아이다르 SC 로고.svg|height=50]]]][br]
[[무아이다르 SC|{{{#FFFFFF '''무아이다르'''}}}]]
||<width=25%> [[알 가라파 SC|[[파일:알 가라파 SC 로고.svg|height=50]]]][br]
[[알 가라파 SC|{{{#0076E0 '''알 가라파'''}}}]]
||<width=25%> [[알 두하일 SC|[[파일:알 두하일 SC 로고.svg|height=50]]]][br]
[[알 두하일 SC|{{{#FFFFFF '''알 두하일'''}}}]]
||<width=25%> [[알 라이얀 SC|[[파일:알 라이얀 SC 로고.svg|height=50]]]][br]
[[알 라이얀 SC|{{{#000000 '''알 라이얀'''}}}]]
|| || [[알 마르키야 SC|[[파일:알 마르키야 SC 로고.svg|height=50]]]][br]
[[알 마르키야 SC|{{{#FFFFFF '''알 마르키야'''}}}]]
|| [[알 사드 SC|[[파일:알 사드 SC 로고.svg|height=50]]]][br]
[[알 사드 SC|{{{#000000 '''알 사드'''}}}]]
|| [[알 샤말 SC|[[파일:알 샤말 SC 로고.svg|height=50]]]][br]
[[알 샤말 SC|{{{#FFFFFF '''알 샤말'''}}}]]
|| [[알 아라비 SC|[[파일:알 아라비 SC 로고.svg|height=50]]]][br]
[[알 아라비 SC|{{{#FFFFFF '''알 아라비'''}}}]]
|| || [[알 아흘리 SC(카타르)|[[파일:알 아흘리 SC(카타르) 로고.svg|height=50]]]][br]
[[알 아흘리 SC(카타르)|{{{#FFFFFF '''알 아흘리'''}}}]]
|| [[알 와크라 SC|[[파일:알 와크라 SC 로고.svg|height=50]]]][br]
[[알 와크라 SC|{{{#FFFFFF '''알 와크라'''}}}]]
|| [[움 살랄 SC|[[파일:움 살랄 SC 로고.svg|height=50]]]][br]
[[움 살랄 SC|{{{#FFFFFF '''움 살랄'''}}}]]
|| [[카타르 SC|[[파일:카타르 SC 로고.svg|height=50]]]][br]
[[카타르 SC|{{{#FFFFFF '''카타르 SC'''}}}]]
|| ||<-4><colbgcolor=#FFFFFF,#191919> [[틀:사우디 프로페셔널 리그|[[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width=20]] 프로페셔널 리그]]|[[틀:카타르 스타스 리그|[[파일:카타르 국기.svg|width=20]] 스타스 리그]]|[[틀:아랍에미리트 프로 리그|[[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20]] 프로 리그]][br][[틀:이라크 스타스 리그|[[파일:이라크 국기.svg|width=20]] 스타스 리그]]|[[틀:요르단 프로 리그|[[파일:요르단 국기.svg|width=20]] 프로 리그]]|[[틀:오만 프로페셔널 리그|[[파일:오만 국기.svg|width=20]] 프로페셔널 리그]][br][[틀:시리아 프리미어 리그|[[파일:시리아 국기.svg|width=20]] 프리미어 리그]]|[[틀:레바논 프리미어 리그|[[파일:레바논 국기.svg|width=20]] 프리미어 리그]]|[[틀:쿠웨이트 프리미어 리그|[[파일:쿠웨이트 국기.svg|width=20]] 프리미어 리그]][br][[틀:바레인 프리미어 리그|[[파일:바레인 국기.svg|width=20]] 프리미어 리그]]|[[틀:팔레스타인 프리미어 리그|[[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width=20]] 프리미어 리그]] || ||<-4> [[틀:세계 축구 주요 리그 및 대표팀/둘러보기 틀|전세계 리그 및 대표팀 보기]] ||





4. 역대 우승팀[편집]


연도우승팀
1963-64알 마레프
1964-65알 마레프
1965-66알 마레프
1966-67알 오루바
1967-68알 오루바
1968-69알 오루바
1969-70알 오루바
1970-71알 오루바
1971-72알 사드
1972-73알 에스테클랄
1973-74알 사드
1974-75-
1975-76알 라이얀
1976-77알 에스테클랄
1977-78알 라이얀
1978-79알 사드
1979-80알 사드
1980-81알 사드
1981-82알 라이얀
1982-83알 아라비
1983-84알 라이얀
1984-85알 아라비
1985-86알 라이얀
1986-87알 사드
1987-88알 사드
1988-89알 사드
1989-90알 라이얀
1990-91알 아라비
1991-92알 이티하드
1992-93알 아라비
1993-94알 아라비
1994-95알 라이얀
1995-96알 아라비
1996-97알 아라비
1997-98알 이티하드
1998-99알 와크라
1999-00알 사드
2000-01알 와크라
2001-02알 이티하드
2002-03카타르 SC
2003-04알 사드
2004-05알 가라파
2005-06알 사드
2006-07알 사드
2007-08알 가라파
2008-09알 가라파
2009-10알 가라파
2010-11레크위야 SC
2011-12레크위야 SC
2012-13알 사드
2013-14레크위야 SC
2014-15레크위야 SC
2015-16알 라이얀
2016-17레크위야 SC
2017-18알 두하일
2018-19알 사드
2019-20알 두하일
2020-21알 사드[A]
2021-22알 사드[A]
2022-23알 두하일[A]


5. 우승 횟수[편집]


우승우승 연도
알 사드161971-72, 1973-74, 1978-79, 1979-80, 1980-81,
1986-87, 1987-88, 1988-89, 1999-00, 2003-04,
2005-06, 2006-07, 2012-13, 2018-19, 2020-21,
2021-22
알 라이얀81975-76, 1977-78, 1981-82, 1983-84, 1985-86,
1989-90, 1994-95, 2015-16
알 두하일82010-11, 2011-12, 2013-14, 2014-15, 2016-17,
2017-18, 2019-20, 2022-23
알 아라비71982-83, 1984-85, 1990-91, 1992-93, 1993-94,
1995-96, 1996-97
알 가라파71991-92, 1997-98, 2001-02, 2004-05, 2007-08,
2008-09, 2009-10
알 오루바51966-67, 1967-68, 1968-69, 1969-70, 1970-71
알 마레프31963-64, 1964-65, 1965-66
카타르 SC31972-73, 1976-77, 2002-03
알 와크라21998-99, 2000-01


6. 카타르 스타스 리그와 대한민국[편집]


서아시아 지역 리그 중 한국 선수들이 가장 많이 거쳐간 리그로 우리에게 유명하다. 수비수 이정수가 리그 명문인 알 사드의 아시아 쿼터 선수로 영입되면서 첫 카타르 진출 선수가 되었고, 뒤이어 조용형이, 다음 시즌에는 남태희가 입단하며 한국 축구팬들의 관심을 받는 리그로 일약 위상이 올라간다. 수준이 그렇게 높다고 할 수 없는 리그이나 재정적으로 풍족하고 한 시즌 경기수도 얼마 되지 않으며 팀간 이동거리가 극히 짧은 점 덕택에 한국 선수들도 선호하는 편이다. 또 최소 국가대표급 선수들만 데려가기 때문에 아무나 갈 수 없는 리그긴 하다.

2014-2015 시즌은 한국인 잔치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한국 선수가 많은 시즌이었는데 이정수, 조용형, 남태희와 더불어 새로 리그에 합류한 신진호, 하성민, 곽희주, 한국영, 조영철까지 도합 8명이나 카타르 스타스 리그에서 뛰게 된 것. 카타르 스타스 리그 팀 수가 12팀인 것을 감안할 때 거의 모든 팀이 한국인 선수를 1명씩 보유하고 있었다는 얘기가 된다. 그만큼 한국인에 대한 선호도가 매우 높은 리그. 2021년 현재도 한국인 선수가 3명 뛰고 있다.


7. 여담[편집]


  • 카타르의 기후가 낮 실외 기온이 매우 높은 리그이기 때문에, 축구 리그도 더위 때문에 골머리를 앓는다. 무더운 날씨로 인해 카타르 대부분의 선수들이 해가 진 뒤 훈련을 한다고 한다. 알 사드의 홈 경기장인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은 경기장에 에어컨을 트는 것으로 유명하다. A보드에 큰 구멍을 내어 그곳을 통해 찬 공기를 그라운드 쪽으로 보낸다고 한다.


[1] 이 때 알 사드 SC는 핵심 주전 수비수인 이정수를 방출할려고 했다가 팬들이 한바탕 난리를 친 일도 있었다. 결국 아시아 쿼터제는 사라지지 않았지만 외국인 선수 출전 제한이 생겨 아시아 쿼터가 아닌 외국인 선수들과 출전 경쟁을 해야 했다. 기존에 자리를 확실하게 잡은 남태희이정수를 제외하면 거의 모두가 주로 교체 멤버로 출전했을 정도.[A] A B C 무패우승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0 04:38:45에 나무위키 카타르 스타스 리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